Real Time Communication Technology FAQ

자주 문의주시는 웹 실시간 통신 기술들에 대한 주요 답변내용을 안내드립니다.
추가적인 문의는 Contact을 통해 문의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HTML5 WebSocket 기술이란 무엇인가요?
WebSocket 기술은 5대 웹 표준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HTML5 언어의 API 통신 하위 기술 스펙으로 웹브라우저에 별도 플러그인 설치없이 웹서버와 연결기반의 텍스트 기반 실시간 메시징을 주고 받을수 있는 기술로 주로 웹채팅,실시간챠트,대시보드,서버 데이터 푸시 서비스 구현시 많이 이용됩니다.
WebRTC는 어떤기술인가요?
WebRTC기술은 구글 크롬 브라우저 개발팀에서 주도하고 있는 실시간 텍스트/음성/영상/파일 기반의 피어투피어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기술로 웹 브라우저에 별도 플러그인 설치 없이 일대일/다자간 실시간 음성/화상 통신이 가능한 순수 웹 표준 기술로 주로 실시간 화상채팅(회의),영상통화 기술 구현시 사용됩니다.
Signaling 서버의 용도는 무엇인가요?
Signaling 서버는 주로 WebSocket 기술을 이용해 구현되며 WebRTC 통신을 위한 피어투피어(양자 통신 주체)간 WebRTC 통신 단계별로 필요한 각종통신정보를 주고 받을수 있게 도와주는 신호처리 및 중계기능을 담당합니다. 주로 양자간 IP/포트 정보 교환(ICE후보),미디어 상태정보교환,연결상태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STUN 서버가 왜 필요한가요 ?
피어투피어(양자간) WebRTC기술기반 화상통신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공용(Pubic)IP 주소와 포트정보를 상호 교환 후 공용IP기반 피어간 직접통신이 가능해야하지만 많은 통신환경(특히 모바일 통신망)에서는 사용자들에게 공인IP를 직접 제공하지 않고 사설(Private)IP를 제공(NAT라우터)하기 때문에 STUN 서버를 제공해 NAT장비와 제공된 STUN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실제 사용자의 공용IP와 포트 정보를 조회할수 있고 관련 정보는 양자간 직접적인 연결 및 통신시 사용될수 있습니다.
TURN(Relay) 서버는 왜 필요한가요 ?
STUN서버를 이용하여 상호간 공용IP주소와 포트정보는 알아낼수 있어도 실제 알아낸 공용IP기반 직접적인 상호간 네트워크 연결은 다양한 이유(통신장비,보안정책,방화벽,백신)로 통신이 불가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STUN기능이 기본 답재된 TURN서버를 구축하여 각 피어의 사설IP,공용IP,포트 맵핑정보를 자동관리하고 피어들은 상호간 직접 연결 통신을 하지 않고 TURN서버(고유공용IP/포트)와의 통신을 통해 그들의 데이터/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을 전달하는 중계(Relay)과정을 거쳐 원할한 통신이 가능해지게 됩니다.